전체 글
-
Knowing & KnowledgeThinking Art 2009. 2. 21. 23:05
Having Knowledge and Kn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 of having and the mode of being in the sphere of knowing is expressed in two formulations: "I have knowledge" and "I know." Having knowledg is taking and keeping possession of available knowledge(information); knowing is functional and serves only as a means in the process of productive thinking. Our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kno..
-
STRAMEXData Analytics/Management 2009. 2. 21. 14:19
Business Game(經營競技)은 교육훈련을 받는 사람들이 쉽게 企業狀況을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미국해군대학의 圖上演習에서 비롯되어, 이를 미국경영관리협회(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및 하버드 대학이 경영자 훈련용으로 개량함으로써 개발된 것이다. STRAMEXTM는 이러한 경영의 意思決定과 관련해서 주요한 부분을 간단한 형식으로 시뮬레이션化 하여 행해지는 일종의 Business Game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가상의 회사를 설립하여 경쟁하도록 되어 있다. 1999년 6월 8일, 제1회 자바소프트웨어 공모전(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동 주최)에 참여하여 다음과 같이 수상한 Pure Java Program 이다. STRAMEX..
-
추천 도서Thinking Art/Misc. 2009. 2. 21. 13:06
세상살이 속에서 내면 가꾸기 1 이태기, 한솜, 2002.12.25. 지은이는 고통의 원인을 소멸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곰삭힘'을 제시한다. 그가 말하는 곰삭힘이란 세상살이 속에서 항상 난동하고 있는 내 속의 에고적 관념을 섬세히 이해하는 것이다. 그 이해가 깊어지면 에고적 관념은 저절로 사라져 ‘마음이 비워진 상태’가 된다는 것. (알라딘) 도덕경 그 참뜻을 찾아서 -세상살이 속에서 내면 가꾸기 2- 이태기, 한솜, 2003.4.15. 도덕경을 쉽게 해설해 놓은 책이다. 각 장마다 원문, 번역, 강의, 명상의 네단계로 진행된다. 원문에는 한자에 취약한 신세대를 위하여 독음과 자해를 달았고, 번역에는 행간의 말을 넣어 전체의 의미가 잘 연결되도록 했으며, 강의는 횡설수설식의 설명을 지양하고 삶 속에서의 ..
-
정보기술 활용 추세 - SaaSData Analytics/Management 2009. 2. 21. 11:44
IT Utilization Initiatives Source: EDS, 2003 초기 조직 내부 자원에 의해 개발, 운영, 관리되던 방식으로부터 외부 조직에 개발 혹은 운영을 맡기고 내부에서 관리하던 시대를 지나 이제 개발, 운영, 관리 모든 것을 외부 공급자에게 일임하고 조직에서 필요한 기능을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는 이 한장의 그림은 이전에 읽었던 리프킨의 소유의 종말을 떠올리게 했다. (이희재 역, 소유의 종말, Jeremy Rifkin, The Age of Access, 서울:민음사, 2001) 다음은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책의 소개 글의 일부를 편집한 것이다. 제레미 리프킨은 이 책에서 산업 사회를 지탱해 온 '소유(ownership)'라는 개념이 종말을 맞게 될 것이라 예측한다. 속도가 좌우..
-
끝없는 추구믿음은 山같이 솟고 2009. 2. 19. 22:04
세종문화회관 / 2009.02.19. 촬영 작자의 설명은 보지 못했지만, 반대편 동그란 무엇을 끝없이 쫒아가는 인간의 생동감(어리석음? ^^)을 표현한 것이 아닌가 싶다. 동그란 무엇은 아마도, 지금 자신이 가지지 못한, 그래서 가지기만 하면 세상을 마음껏 누릴 수 있게 해 줄 것 같은 더 많은 재산, 남에게 휘둘리지 않을 뿐만아니라, 마음먹으면 남을 휘두를 수 있을 더 많은 힘, 영향력, 자랑할 수 있고, 가끔씩 뻐기고도 싶은 세상으로부터 더 많은 명예, 존경, 인정 ... 이러한 것들이 아닐까. "그 끝없는 목표추구 속에서 하루도 편할 날이 없이 살다가 한평생이 끝난다. 함으로, 도인은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라고(=변화하라고) 다그치지 않는다. 순간 순간의 '지금 여기의 것'에 온전히 만족하는 삶의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