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tics
-
-
Let's Dig UpData Analytics 2021. 9. 2. 10:47
Let's dig up the data together and find a radical insight. 도움을 주실 온라인 사이트/문서/서비스/도구들... 학습 R, Python 분석과 프로그래밍의 친구 [ https://rfriend.tistory.com ]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 https://datascienceschool.net/ ] 데이터 AI Hub [ https://www.aihub.or.kr/ai_data ] 공공데이터 포털 [ https://www.data.go.kr/ ] Kaggle [ https://www.kaggle.com/ ] 도서 김영호 역, Hyndman, R.J., & Athanasopoulos, G. (2018) Forecasting: principles and prac..
-
Gartner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2009Data Analytics/Management 2010. 3. 4. 14:55
Gartner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2009: What’s Peaking, What’s Troughing? Source from: http://bhc3.wordpress.com/2009/07/27/gartner-hype-cycle-2009-whats-peaking-whats-troughing/ Gartner maintains something called hype cycles for various technologies. What’s a hype cycle? The hype cycle provides a cross-industry perspective on the technologies and trends IT managers should consider in..
-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Data Analytics/Management 2010. 2. 18. 15:03
경쟁우위의 근원은 상대적인 비용우위, 제품 차별화, 전략적 제휴, IT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IT의 경쟁우위 연구는 “체계적 근거보다는 어떤 방법에 대한 설명”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에 비해 자원기반 관점에서 경쟁우위 모형은 ① 경쟁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 역량은 서로 다를 것이다(자원 이질성), ② 이러한 차이는 오랫동안 영속할 것이다(자원 부동성)라는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조직의 자원이나 역량은 조직의 역사적 경험(예: 2차 대전), 인과관계의 모호성(예: 조직문화), 사회적 복잡성(예: 평판) 등의 이유로 고착될 수 있으며, 이질성과 부동성은 다음 그림의 모형으로 구성된다. [그림] 경쟁우위의 자원기반 모형 Source: Mata et al.(1995), "IT and Sustai..
-
기술가치의 평가Data Analytics/Management 2009. 7. 19. 14:22
기술의 가치는 기술성과 시장성의 상호작용이나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두가지를 따로 측정하여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간의 구조적 연관관계를 파악한 후 이 관계를 토대로 전체적인 기술가치를 산정하는 통합적 방법이 바람직함. 기술적 가치(Value of Technology) Factor Item Operational Definition 본질적 가치 독점성 유사한 기술에 비해 해당기술이 기술시장에서 차지하는 특허적 구속력의 정도를 평가 기술수준 기술자체가 최신의 기술동향을 반영하는 정도와 기술적 완성도를 평가 기술수명 해당기술이 더 이상 가치를 창출할 수 없거나 다른 기술이 해당기술을 대체할 수 있을 때까지의 수명을 평가 표준성 기술이 동종기술의 표준에 부합하는 정도로서 호환성을 평가하는 항목 활..
-
사업을 일으킨다는 것은Data Analytics/Management 2009. 6. 20. 23:28
사업을 한다, '사업을 일으킨다'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해'라고들 말하지만 그것이 궁극적 목적이 아니라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말하는 당사자만은 자신이 한 말에 스스로 속고(착각하고) 있다. 복잡한 이론은 던져두고 잠시 기본으로 돌아가서 곰곰히 생각해 보자. 사업을 일으킴으로써 (1) 사람들에게 어떤 도움(가치)을 제공할 수 있고 (2) 그 도움이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인식이 되었을 때 (3) 사람들은 그에 적정한 대가(돈)를 지불하고 그것을 소비하게 된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가치있는'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먼저이고 그 뒤에 돈을 벌게 된다는 것이다. 돈을 벌기가 쉽지 않다고, 또는 사업이 갈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들 때 자신이 제공하는 제품/서비스가 과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