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ing Art
-
기억력Thinking Art/Misc. 2009. 9. 28. 19:27
기억력 기억력은 인간의 마음이 갖는 능력으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하나는 기억하는 능력이고, 또 하나는 그것을 생각해 내는 능력이다. 기억하는 활동은 수동적으로서 노력없이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생각해 내는 활동쪽은 적극적인 활동이고 그것에는 시스템화 되고 방법적으로 확고한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억력이라하면 후자 즉, 필요한대로 생각해내는 능력으로, 그것을 어느 정도까지 정확하게 할 수 있느냐가 기억력의 척도가 된다. 기억의 기본 법칙 정확하게 꺼내어 쓰기 위해 우선 분류하여 정리하고, 다음엔 그것을 상상에 의한 연상의 실로 영상화 하여 기억창고에 넣어두어야만 한다. 이러한 능력을 확장시키기 위해 필수의 조건을 시스템화된 기억술이라 한다. 다음의 CDF(Cash Deposit F..
-
Knowing & KnowledgeThinking Art 2009. 2. 21. 23:05
Having Knowledge and Kn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 of having and the mode of being in the sphere of knowing is expressed in two formulations: "I have knowledge" and "I know." Having knowledg is taking and keeping possession of available knowledge(information); knowing is functional and serves only as a means in the process of productive thinking. Our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kno..
-
추천 도서Thinking Art/Misc. 2009. 2. 21. 13:06
세상살이 속에서 내면 가꾸기 1 이태기, 한솜, 2002.12.25. 지은이는 고통의 원인을 소멸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곰삭힘'을 제시한다. 그가 말하는 곰삭힘이란 세상살이 속에서 항상 난동하고 있는 내 속의 에고적 관념을 섬세히 이해하는 것이다. 그 이해가 깊어지면 에고적 관념은 저절로 사라져 ‘마음이 비워진 상태’가 된다는 것. (알라딘) 도덕경 그 참뜻을 찾아서 -세상살이 속에서 내면 가꾸기 2- 이태기, 한솜, 2003.4.15. 도덕경을 쉽게 해설해 놓은 책이다. 각 장마다 원문, 번역, 강의, 명상의 네단계로 진행된다. 원문에는 한자에 취약한 신세대를 위하여 독음과 자해를 달았고, 번역에는 행간의 말을 넣어 전체의 의미가 잘 연결되도록 했으며, 강의는 횡설수설식의 설명을 지양하고 삶 속에서의 ..
-
전문성Thinking Art/Misc. 2009. 2. 2. 23:46
형식, 방법, 그리고 전문성 형식: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 기본 구조와 기초 동작 방법: 진행단계, 절차, 지침 등의 경험적 지식, 교훈; 다양한 조합에 의한 법칙 전문성: 직업적 경험, 면밀한 연구를 통한 깊은 수준의 지혜; 감각과 숙련된 기술 분야 형식 방법 전문성 요리 재료, 냄비, 팬, 스토브 조리법, 요리책 손의 감각, 창의성, 새로운 요리 개발력 건축 건축 자재, 장비 청사진, 건축 방법, 건축 기호 취향, 설계, 미관, 강도, 이상적 균형 의료 장비, 약, 병원 절차, 매뉴얼, 프로토콜 진단의 정확성, 속도, 치료능력 과학 연구 장비, 실험실, 물질, 프로젝트 과학적 방법론, 실험절차, 공식 육감, 인내, 축적된 지식 교육 커리큘럼, 교실, 교육지침, 선생의 역할 교수법, 성인 교육학 ..
-
Game TheoryThinking Art 2009. 1. 31. 23:20
게임이론은 헝가리 출신의 전재 수학자로 디지털 컴퓨터를 발명한 폰 노이만(von Neumann)의 저서 '게임이론과 경제행위(The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에서 유래한 것이다. 서로의 이해가 상반되고 모든 사람이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추구하는 경제행위가 하나의 '게임'과 같다는 아이디어 였으나 경제학에서는 실패작으로 판명되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누가 참여자인지 모두 밝혀져야 하고, 각 참여자들이 얻거나 잃는 대가를 계량적으로(최소한 확률로라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일어나는 게임의 복잡한 양상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게임이론의 고전적인 문제는 1950년 RAND사에 근무하던 두 과학자 Merril Floo..
-
수평적 사고 퀴즈Thinking Art/Misc. 2009. 1. 28. 12:54
수평적 사고 퍼즐(lateral thinking puzzle)이란, 상식이나 기존 관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을 제시하고 그런 상황이 어떻게해서 벌어졌는지를 맞추는 형태의 퍼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문제들은 Paul Sloane's list of Classic Lateral Thinking Puzzles에 실린 것으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의 원인을 추측하는 퍼즐입니다. - 충분한 사고가 필요하고 - 퍼즐에 빠져들수록 당신의 두뇌는 발달합니다. - 해답은 영문이고, 번역되지 않았습니다. 해답은 여러 개가 될수 있는 것이니 못마춰도 실망 마십시오. 1. 엘리베이터 안의 사람 어떤 건물의 10층에 한 사람(남자인지? 그냥 사람인지?)이 살고 있다. 그는 매일 엘리베이터를 타고 1층으로 내려..
-
수평적 사고 (Lateral Thinking)Thinking Art/Lateral Thinking 2009. 1. 17. 22:27
↕ 지식, 경험으로 판단, 평가, 분석하는 (이분법적) 사고 ↔ 창조와 변화에 중점을 둔 (다양성 지향) 사고 두뇌의 자기 조직 시스템(Self Organization System) 하에서, 입력된 정보는 고정된 pattern을 형성한다. 이 고정된 pattern을 깨뜨리는 것이 수평적 사고이다. 즉 기존의 개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사고 기법이다. - Dr. de Bono, 1964 ① 초점(focus) - 실효성 향상을 위해 target을 설정해야 - General area focus ←(분리) → Specific area focus (Purposed focus) ↘ ↙ 기내 서비스 (비용 절감) ↓ 비용 증가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② 대안(alternatives) - 고정점(fixed point)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