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기반 DID 신원인증 시스템: 점검 체크리스트CheckFact/가까이서 본 기술 2025. 4. 15. 20:43
블록체인 기반 DID 신원인증 시스템: DID, VC, 스마트 컨트랙트 점검 체크리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DID(분산 신원 인증) 기반 신분 확인 시스템의 구현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 점검항목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1. 점검항목별 검토 내용
(1) DID 핵심 구조 및 데이터 관리
- DID Document 관리: DID 문서가 블록체인에 안전하게 저장되고, 공개키·인증정보가 표준에 맞게 관리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5].
- VC/VP(자격증명/제시) 검증: 발급·제시·검증 과정에서 데이터 위변조, 서명 유효성, 선택적 정보 공개 등 DID의 본질적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어야 합니다[3][5].
- 프라이빗 키 관리: 사용자 프라이빗 키가 안전하게 단말기나 보안 모듈(HSM, Secure Enclave 등)에 저장·관리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5].
(2) 개인정보 및 보안
- 생체정보·민감정보 보호: 생체정보 등 민감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저장·전송되고, 불필요한 정보 노출이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5].
- FDS(이상거래탐지) 및 접근제어: 비정상 접근, 반복 인증 시도 등 부정 사용을 탐지·차단하는 기능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3) 상호운용성 및 표준 준수
- W3C DID/VC 표준 준수: DID, VC, VP가 국제 표준에 맞게 설계·운영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3].
- 타 플랫폼 연동성: 외부 DID 네트워크(예: Hyperledger Indy, Sovrin 등)와의 상호운용성도 점검 대상입니다.
(4) 운영 및 유지관리
- 모니터링 및 로깅: 트랜잭션, 인증 이력 등 주요 이벤트가 안전하게 기록·감사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 패치/재해복구 정책: 보안 취약점 대응,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5) 스마트 컨트랙트
- 보안 취약점 점검: 재진입, 오버플로우 등 주요 취약점이 없는지 정적/동적 분석 및 코드 리뷰 필요.
- 권한 및 접근제어: 민감 함수에 대한 접근권한이 적절히 분리·제한되어야 함.
- 명세 일치 및 테스트: 명세와 코드 일치, 충분한 테스트 수행.
2. 상세 검토항목별 적합 기준
아래 표는 앞서 설명한 5개 핵심항목과 각 하위 항목을 모두 반영하여,
검토 방법, 적합 기준, 부적합 사례를 예시로 정리한 것입니다.
점검 항목 검토 항목 검토 방법 적합 기준 부적합 사례 1. DID 구조 및 데이터 관리 DID Document 관리 문서 검토, 시스템 테스트 DID Document가 블록체인에 안전하게 저장, 표준 필드( id
,publicKey
등) 준수DID Document에 불필요한 데이터 포함, 표준 미준수 VC/VP(자격증명/제시) 검증 시스템 테스트 VC/VP의 서명 유효성, 위변조 방지, 선택적 정보 공개 기능 정상 동작 서명 검증 실패, 전체 정보만 공개, 위변조 가능 프라이빗 키 관리 문서 검토, 시스템 테스트 프라이빗 키가 HSM, Secure Enclave 등 안전한 환경에 암호화 저장 키가 평문 파일로 저장, 접근제어 미흡 2. 개인정보 및 보안 생체정보·민감정보 보호 문서 검토, 시스템 테스트 생체정보 등 민감 데이터 암호화 저장/전송, 최소 정보만 수집 민감정보 평문 저장, 불필요한 정보 과다 수집 FDS(이상거래탐지) 및 접근제어 시스템 테스트 비정상 접근·반복 인증 시도 탐지 및 차단, 관리자 알림 기능 구현 무제한 인증 시도 허용, 이상징후 미탐지 3. 상호운용성 및 표준 W3C DID/VC 표준 준수 문서 검토 DID, VC, VP가 W3C 표준(최신 버전) 완전 준수 비표준 필드 사용, 표준 미준수 타 플랫폼 연동성 시스템 테스트 외부 DID 네트워크(Indy, Sovrin 등)와 상호운용성 확보, VC 상호 검증 가능 특정 네트워크만 지원, 외부 VC 검증 실패 4. 운영 및 유지관리 모니터링 및 로깅 문서 검토, 시스템 테스트 트랜잭션/인증 이력 등 주요 이벤트 안전하게 기록, SIEM 등과 연동 로그 미기록, 외부 감사 불가, SIEM 미연동 패치/재해복구 정책 문서 검토 취약점 발견 시 72시간 내 패치, 데이터 백업 및 24시간 내 복구 가능 패치 일정 미정, 백업/복구 체계 미흡 5.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취약점 점검 코드 리뷰, 정적/동적 분석, 테스트넷 재진입, 오버플로우 등 취약점 미존재 재진입 공격, 오버플로우 등 취약점 발견 권한 및 접근제어 코드 리뷰, 테스트 관리자/사용자 권한 분리, 민감 함수 접근 제한 모든 사용자가 민감 함수 호출 가능 명세 일치 및 테스트 명세서와 코드 비교, 테스트 코드 실행 명세와 코드 일치, 주요 기능에 대한 테스트 100% 수행 명세와 다르게 동작, 테스트 미흡 설명
- 검토 방법: 문서 검토(설계서, 정책서 등), 시스템 테스트(실제 동작 확인), 코드 리뷰, 자동화 도구 활용 등.
- 적합 기준: 표준 준수, 보안성, 상호운용성, 운영 안정성 등 각 항목별로 구체적 기준 명시.
- 부적합 사례: 실제로 자주 발견되는 문제점, 미흡 사례 등.
3.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취약점 점검
스마트 컨트랙트는 별도의 보안 점검이 필요함
-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시스템 위에서 동작하는 코드로, 자산 이동, 신원 검증 등 핵심 로직을 직접 실행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 취약점(예: 재진입 공격, 오버플로우, 권한 오남용 등)은 블록체인 인프라 자체와는 별개로 발생하며, 코드 수준에서만 탐지·예방이 가능합니다.
- 정적 분석, 동적 분석, 코드 리뷰, 형식적 검증 등 스마트 컨트랙트 전용의 보안 점검 방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솔루션 점검만으로는 한계
- 블록체인 솔루션(제품) 점검은 네트워크, 합의, 노드 운영, 데이터 저장, API 등 인프라와 플랫폼의 신뢰성·성능·보안에 초점을 둡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의 코드 취약점은 솔루션 점검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충분히 상세하게 다루지 못합니다.
- 실제로, 많은 보안 사고가 블록체인 인프라가 아닌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의 취약점에서 발생합니다.
업계 표준 및 연구 동향
-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점검은 별도의 정적 분석 도구(Slither, Mythril 등), 동적 분석, 퍼지 테스트, 코드 감사 등으로 수행하는 것이 업계 표준입니다.
- 블록체인 시스템의 보안 점검과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 점검은 상호 보완적으로, 각각 별도의 체크리스트와 절차가 필요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언어
가장 대표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는 Solidity이며, 플랫폼에 따라 Vyper, C++, Go, Java, JavaScript 등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언어가 사용됩니다.
- Solidity(솔리디티):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호환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입니다. 객체지향적이며, C++, Python, JavaScript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 Vyper(바이퍼): 이더리움용으로 개발된 또 다른 언어로, 보안성과 가독성을 강화한 Python 스타일의 문법을 가집니다.
- C++: EOS 등 일부 블록체인에서는 범용 언어인 C++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합니다. 작성된 코드는 웹어셈블리(WASM)로 컴파일되어 실행됩니다.
- Go, Java, JavaScript: Hyperledger Fabric 등에서는 Go, Java, JavaScript 등 범용 언어로 체인코드를(스마트 컨트랙트) 개발할 수 있습니다.
- 기타: Cadence(Flow), Rholang(RChain), Sophia(Aeternity), Liquidity(Tezos) 등 각 블록체인별 특화 언어도 존재합니다.
정적 분석을 통한 대표적인 취약점
- 재진입 공격(Reentrancy): 외부 호출 중 컨트랙트의 상태가 완전히 갱신되기 전에 다시 함수가 호출되어 자금이 중복 인출되는 취약점.
- 정수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Integer Overflow/Underflow): 산술 연산 시 값이 범위를 벗어나 의도치 않은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
- 잘못된 접근제어(Access Control): 관리자 권한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누구나 민감 함수에 접근할 수 있는 취약점.
- DoS(서비스 거부) 취약점: 특정 입력이나 조건에서 컨트랙트가 영구적으로 동작을 멈추거나 자원이 고갈되는 문제.
- 불필요한 외부 호출 및 의존성: 신뢰할 수 없는 외부 컨트랙트나 오라클에 의존해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음.
- 미사용 변수/함수, 코드 스타일 문제: 코드의 가독성 저하, 유지보수성 저하, 잠재적 버그 유발 가능성.
이 외에도 코드 문법 오류, 잠재적 보안 취약점, 코드 스타일 문제 등 다양한 결함을 사전에 탐지.
4. 블록체인 기반 DID 시스템의 핵심 아키텍처
다음은 블록체인 기반 DID 시스템의 핵심 아키텍처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분산화, 자기주권, 보안을 핵심 원칙으로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다이어그램
Blockchain DID Architecture (1) 사용자 단말 (모바일/웹 지갑)
- 역할: 사용자가 DID를 생성·관리하고 VC(자격증명)를 발급받아 저장하는 개인 지갑.
- 예시: uPort, MetaMask, Trinsic.
- 핵심 기능:
- DID 생성 및 키 쌍(공개키·프라이빗 키) 관리.
- VC 수신·저장 및 VP(제시) 생성.
- 생체 인증(Face ID, 지문)을 통한 접근 제어.
(2) 블록체인 네트워크
- 역할: DID Document(공개키, 인증 정보)를 분산 저장·관리하는 기반 인프라.
- 예시: 이더리움, Hyperledger Indy, Sovrin.
- 핵심 요소:
- DID Document 저장소: 블록체인에 DID 정보를 기록.
- 스마트 컨트랙트: DID 등록·갱신, VC 검증 로직 자동화.
- 노드: 분산 합의를 통해 데이터 무결성 유지.
(3) 검증 기관/서비스
- 역할: 사용자가 제출한 VP(제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주체.
- 예시: 은행(KYC), 의료기관(진단서), 기업(재직증명).
- 핵심 기능:
- VP의 서명 유효성 및 발급기관 신뢰성 확인.
- 선택적 공개 정보만을 요청·검증 (Selective Disclosure).
(4) 프라이빗 키 관리 시스템
- 역할: 사용자 프라이빗 키를 안전하게 저장·보호.
- 예시: iPhone Secure Enclave, YubiKey, AWS CloudHSM.
- 보안 원칙:
- 키는 절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야 함.
- 생체 인증 또는 하드웨어 격리로 접근 통제.
(5) 스마트 컨트랙트
- 역할: DID 신분 확인 시스템의 핵심 자동화·투명성·무결성 보장.
- 예시: 블록체인 플랫폼별 Solidity, Vyper, Go, Java 등 언어로 개발.
- 핵심 기능:
- DID 등록 및 관리.
- VC/VP 발급 및 검증.
- 신원 정보의 소유권·유효성 관리.
- 중앙화된 중개자 없이 신원 검증.
(6) 외부 신뢰 시스템
- 역할: VC 발급을 위한 기존 신뢰 시스템과의 연동.
- 예시: 정부 발급 신분증, 대학 학위 DB, 금융사 결제 시스템.
- 연동 방식:
- API를 통해 정보 검증 및 VC 발급.
- 오프체인 데이터와 온체인 데이터의 연결.
아키텍처 동작 흐름
- 사용자: 지갑 앱에서 DID 생성 → 블록체인에 DID Document 등록.
- 발급 기관: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검증 후 VC 발급.
- 사용자: VP를 생성해 검증 기관에 제출.
- 검증 기관: 블록체인에서 DID Document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VP 검증.
- 결과: 검증 성공 시 서비스 접근 허용.
요약
✅ 위 표를 활용하면 블록체인 기반 DID 신원 확인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적정성을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
- DID 시스템은 신원 데이터의 정확성, 개인정보 보호, 상호운용성, 운영 안정성 등 다층적 검증이 필요합니다.
- 블록체인 기반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점검은 필수로, DID 시스템의 전체 신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려면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취약점 점검 항목이 반드시 함께 포함되어야 합니다.
- 점검 및 검토항목의 이해를 위해 위 아키텍처 핵심 구성요소 설명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4.15.
AUDITORISCitations:
[1] https://www.lgcns.com/blog/cns-tech/blockchain/44435/
[2] https://www.raonsecure.com/ko/solution/omnioneenterprise
[3] https://www.comin.com/contentsView.do?pageId=www17
[4] https://velog.io/@cutepassions/DID-%EB%8F%84%EC%9E%85%EA%B8%B0
[5]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220075723A/ko
[6] https://grant-documents.thevc.kr/217348_%EB%B6%99%EC%9E%844-2.+%5B%EC%A0%9C%EC%95%88%EC%9A%94%EC%B2%AD%EC%84%9C-%EC%A7%91%EC%A4%91%EC%82%AC%EC%97%852%5D+%ED%95%9C%EA%B5%AD%EA%B3%A0%EC%9A%A9%EC%A0%95%EB%B3%B4%EC%9B%90-%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B%B0%98%EC%9D%98+%EB%94%94%EC%A7%80%ED%84%B8+%EC%9D%B4%EB%A0%A5%EC%84%9C+%EC%A6%9D%EB%AA%85%EC%84%9C%EB%B9%84%EC%8A%A4+%EA%B5%AC%EC%B6%95%EC%82%AC%EC%97%85.pdf
[7] https://public.thinkonweb.com/journals/jkiisc/digital-library/manuscript/file/25186/31-6%2003%20%EC%A1%B0%EC%8A%B9%ED%98%84.pdf
[8] https://www.raonsecure.com/ko/service/omnionedid
728x90'CheckFact > 가까이서 본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A 메시지 브로커 - Kafka와 RabbitMQ 비교 (2) 2025.04.08 마이크로 서비스 설계 패턴 - 3계층 패턴, 2아키텍처 (0) 2025.04.02 Context Map에서 관계를 명시하는 방법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