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篇(내편)
1.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하였습니다)
북쪽 깊은 바다(북명(北冥))에 물고기 한 마리가 살았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하였습니다. 그 크기가 몇 천리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이 물고기가 변하여 새가 되었는데,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하였습니다. 그 등 길이가 몇 천리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한번 기운을 모아 힘차게 날아오르면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습니다. 이 새는 바다 기운이 움직여 물결이 흉흉해지면, 남쪽 깊은 바다(남명(南冥))로 가는데, 그 바다를 예로부터 ‘천지(天池)’라 하였습니다.
2. (구만리 장천을 날고 내려와 쉰다)
이상한 일을 다룬 『제해(齊諧)』라는 책에도 이 새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붕이 남쪽 깊은 바다로 갈 때, 파도가 일어 삼천리 밖까지 퍼진다. 회오리 바람을 일으켜 그것을 타고 여섯 달 동안 구만리 장천을 날고 내려와 쉰다.”
[저 아래 땅 위에는]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티끌이 날고, 생물들이 서로 숨을 불어주고, 하늘은 푸른데, 그것이 하늘의 본래 색깔입니까? 끝없이 멀기 때문에 푸르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까? 높이 떠서 내려다보아도 이처럼 까마득하고 푸르게 보일 뿐입니다.
4.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습니다)
괸 물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습니다. 물 한잔을 방바닥 우묵한 곳에 부으면 그 위에 검불은 띄울 수 있지만, 잔을 얹으면 바닥에 닿아 버리고 맙니다. 물이 얕은데 배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바람이 충분하지 못하면 큰 날개를 띄울 힘이 없습니다. 구만리 창공에 오른 붕새는 큰 바람을 타야 푸른 하늘을 등에 지고 거침이 없이 남쪽으로 날아갑니다.
5. (메뚜기는 봄과 가을을 알 수 없습니다)
매미와 새끼 비둘기가 그것을 보고 함께 웃으며 말합니다. “우리는 한껏 날아 보아야 겨우 느릅나무나 다목나무에 이를 뿐이고, 어떤 때는 거기에도 못 미쳐 땅에 내려앉고 마는데, 구만리를 날아 남쪽으로 간다니.”
가까운 숲으로 놀러가는 사람은 세끼 먹을 것만 가지고 가도 돌아올 때까지 배고픈 줄 모르지만, 백리 길을 가는 사람은 하룻 밤 지낼 양식을 준비해야 하고, 천리 길을 가는 사람은 석 달 먹을 양식을 준비해야 합니다. 매미나 새끼 비둘기 같은 미물이 어찌 이를 알 수 있겠습니까? 조금 아는 것(小知)으로 많이 아는 것(大知)를 헤아릴 수 없고, 짧은 삶(小年)으로 긴 삶(大年)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
이런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아침에 잠깐 났다가 시드는 버섯은 저녁과 새벽을 알 수 없습니다. 여름 한철 사는 메뚜기는 봄과 가을을 알 수 없습니다. 이것이 ‘짧은 삶’입니다.
초나라 남쪽에 명령(冥靈)이라는 신령한 거북이 살았습니다. 이 거북에게는 봄·가을이 오백 년씩이었습니다. 그보다 더 오랜 옛날에 춘(椿)이라는 큰 나무가 있었습니다. 이 나무에게는 봄·가을이 각각 팔천 년씩이었습니다. 이런 것이 ‘긴 삶’입니다. 그런데 팽조(彭祖)가 [700년 혹은 800년을 살았다 하여] 오래 살았다고 사람들이 부러워하니 슬프지 않습니까?
6. (메추라기가 이를 보고 비웃으면서)
『상(商)나라 시조 탕왕(湯王)이 신하 하극(하극)에게 물음』이라는 책에도 이와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북쪽 메마른 땅에 깊은 바다가 있었는데, 이를 ‘하늘 못(天池)’이라 했습니다. 거기에 곤(鯤)이라는 물고기 한 마리가 있었는데, 그 폭이 수천 리나 되고 그 길이는 알 수가 없었습니다. 붕(鵬)이라는 새도 한 마리 있었는데 그 등이 태산 같고, 날개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았습니다. 회오리 바람을 타고 구름 위로 솟아올라 푸른 하늘을 등에 지고 구만 리를 날아 ‘남쪽 깊은 바다’로 갔습니다.
메추라기가 이를 보고 비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저 새는 저렇게 날아서 어디로 간단 말인가? 나는 한껏 뛰어올라도 몇 길을 못 올랐다가 내려앉아서 기껏해야 이 숲에서 저 덤불로 날아가는데, 도대체 저 붕새는 저렇게 날아서 어디로 가는 것인가?’ 큼과 작음의 차이가 이렇습니다.”
7. (지인(至人)과 신인(神人)과 성인(聖人))
그러므로 그 아는 것이 벼슬자리 하나 채울 만한 사람, 그 행위가 마을 하나를 돌볼만한 사람, 그 덕이 임금 하나를 섬길만한 사람, 그 재능이 한 나라를 맡을 만한 사람. 이런 사람들은 그 기량(器量)이 저 메추리만한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송영자(宋英子)는 그런 사람들을 비웃었으며, 그는 온 세상이 자신을 칭찬해도 우쭐하지 않고, 비난해도 기죽지 않았습니다. 내실(內實)과 외식(外飾)을 분명히 구별하고, 영광과 치욕의 경계를 확실히 알았기 때문입니다 세상일을 서두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도 아직 이르지 못한 경지가 있었습니다.
열자(列子)는 바람을 타고 올라가 마음대로 노닐다가 열닷새가 지나서 돌아왔습니다. 세상의 행복에 연연하지 않고 초연히 노닐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아무것도 의지하지 않을 만큼 초연하지는 못했습니다.
어떤 사람이 하늘땅의 바름(正)을 타고, 여섯 가지 기(氣)의 변화를 부려, 무한한 경지에서 노닐 수 있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그 사람이 무엇을 더 바라겠습니까?
그러므로 지인(至人)은 자신에 집착하지 않으며, 신인(神人)은 그 공적에 무관하고, 성인(聖人)은 명예를 탐내지 않습니다.
8. (비가 오는데도 밭에다 물을 대고 있으면)
요(堯) 임금이 나라를 허유(許由)에게 넘겨주겠다고 말했습니다. “해나 달이 떳는데도 켜 놓은 관솔불 빛은 헛된 것 아니겠습니까? 때가 되어 비가 오는데도 밭에다 물을 대고 있으면 그 노고도 헛된 것 아니겠습니까? 선생께서 위(位)에 오르셔야 세상이 바르게 될 터인데, 제가 아직 임금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제 스스로 부족함을 알고 있으니, 청컨데 세상을 맡아 주십시오.”
허유가 대답했습니다. “왕께서 다스려 세상이 이미 좋아졌는데, 제가 왕이 되는 것은 오직 이름을 위한 것 아니겠습니까? 이름은 실재의 껍데기일 뿐. 제가 그것으로 뭘 하겠습니까? 뱁새가 깊은 숲속에 둥지를 트는 데는 가지 하나만 있으면 되고, 두더지가 시내에서 물을 마시는 데는 그 작은 배를 채울 물만 있으면 됩니다. 임금께서는 돌아가 쉬십시오. 저는 세상을 다스릴 필요가 없습니다. 부엌의 요리사가 부엌일을 잘못해도 제사 시동(尸童)이나 신주(神主)가 술 단지와 적대를 들고 와서 그 노릇을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9. (바람을 들이키고 이슬을 마시면서 살고)
견오(肩吾)가 연숙(連叔)에게 말했습니다. “접여(接輿)가 하는 말을 들었는데, 터무니없이 큰소리를 치면서 일사천리로 나아가기만 하고 돌아올 줄을 모릅디다. 그 하는 말이 실로 놀랍고 두렵더군요. 마치 은하수처럼 끝이 없더이다. 엉터리로 과장하고 겉돌아 사람들의 일상사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이야기들이었소.”
연숙이 물었습니다. “그 사람이 무슨 말을 하였기에?”
“멀리 고야산에 신인(神人)이 살았는데 그 살갗이 얼음이나 눈같고, 처녀처럼 부드럽다고 했소. 오곡을 먹지 않고, 바람을 들이키고 이슬을 마시면서 살고, 구름을 타고, 나는 용을 몰아, 사해(四海) 밖을 노닌다는 것이었소. 정신을 응집하면 병해(病害)를 막고, 매년 곡식도 잘 익게 한다는 이야기였소. 도무지 미친 사람의 말 같아서 하나도 못 믿겠더구려.”
10. (세상이 모두 평화를 바라는데)
연숙이 말했습니다. “그렇군. 눈먼 사람은 아름다운 장식을 볼 수 없고, 귀먹은 사람은 종(鐘)이나 북소리를 들을 수 없지. 몸만 눈멀고 귀먹었겠소, 지각도 그랬겠지. 이것이 바로 그대의 일이구려. 신인은 그의 덕으로 온갖 것과 어울려 하나가 된 것이오. 세상이 모두 평화를 바라는데, 무엇 때문에 구태여 노심초사하며 애쓸 필요가 있겠소? 아무것도 이 신인을 해칠 수 없지. 홍수가 나서 하늘에 닿아도 빠져 죽지 않고, 가뭄이 들어 쇠붙이와 돌이 녹고 땅과 산이 불에 타도 데지 않으니까. 이 신인은 제 몸의 먼지와 때, 조의 쭉정이와 겨를 가지고도 요 임금이나 순 임금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 무엇 때문에 세상일에 몰두 하겠소?”
11. (송나라 모자 장수와 요 임금)
송(宋)나라 사람이 예식 때 쓰는 모자를 잔뜩 가지고 월(越)나라에 팔러 갔습니다. 그러나 월나라 사람들은 모두 머리를 짧게 깎고 몸에는 문신을 해서 모자가 필요 없었습니다.
요 임금은 세상을 잘 다스려 나라가 태평해지자, 멀리 고야산에 사는 네 스승을 뵈러 갔습니다. 돌아오는 길에 분(분)강 북쪽 기슭에 다다랐을 때, 망연자실(茫然自失)해 자기 나라가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어버렸습니다.
12. (납작해서 아무것도 담을 수가 없는 박)
혜자(혜자)가 장자(莊子)에게 말했습니다. “위(魏)나라 임금이 준 큰 박 씨를 심었더니 거기서 다섯 섬들이 [아주 큰] 박이 열렸네. 거기다 물을 채웠더니 너무 무거워 들 수가 없었지. 쪼개서 바가지를 만들었더니, 깊이가 없이 납작해서 아무것도 담을 수가 없는데 크기만 하고 달리 쓸모도 없어 깨뜨려 버렸네.”
장자가 대답했습니다. “여보게, 자네는 큰 것을 쓸 줄 모르는군. 송나라에 손이 트지 않게 하는 약을 만드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약을 손에 바르고 무명을 빨아서 바래는 일을 대대로 하였다네. 지나가던 길손이 그 말을 듣고, 금 백 냥을 줄 터이니 약 만드는 비방을 팔라고 했지. 그 사람은 가족을 다 모아 놓고 의논하기를 ‘우리가 대대로 무명을 빨아 바래 왔지만 기껏 금 몇 냥밖에 만져 보지 못했는데, 이제 이 약의 비방을 금 백 냥에 사겠다는 사람이 있으니 팝시다’ 하였다네.
13. (큰 술통을 만들어 띄워 놓고)
그 길손은 오(吳) 왕에게 가서 [그 약의 효험을] 설명했네. 마침 월(越) 왕이 싸움을 걸어오자, 오 왕은 그 길손으로 수군(水軍) 대장을 삼았다네. [그 약으로 수군들의 손이 트지 않도록 할 수 있었기에] 겨울에 수전(水戰)을 벌여 월을 대패시켰다지. 왕은 그 사람에게 땅을 떼어주고 영주로 삼았다네.
손 트는 것을 막는 약은 한 가지인데, 한 쪽은 그것으로 영주가 되고, 다른 쪽은 무명 빠는 일밖에 못했으니, 똑같은 것을 가지고 쓰기에 따라 이렇게 달라지는 게 아닌가? 자네는 어찌하여 다섯 섬들이 박으로 큰 술통을 만들어 강이나 호수에 띄워 놓고 즐길 생각을 못 하고, 깊이가 너무 얕아서 아무것도 담을 수 없다고만 걱정했단 말인가? 자네는 아직도 작은 [일만 생각하는] ‘좀생이 같은 마음(蓮之心)’을 가지고 있네 그려.“
14. (거들떠보지 않는 나무)
혜자(惠子)가 장자(莊子)에게 말했습니다. “나에게 큰 나무가 한 그루가 있는데, 사람들이 가죽나무라 하네. 그 큰 줄기는 뒤틀리고 옹이가 가득해서 먹줄을 칠 수 없고, 작은 가지들은 꼬불꼬불해서 자를 댈 수 없을 정도지. 길가에 서 있지만 대목들이 거들떠보지도 않네. 지금 자네의 말은 이처럼 크기만 하고 쓸모가 없어서 사람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걸세.”
장자가 말했습니다. “자네는 너구리나 살쾡이를 본 적이 없는가? 몸을 낮추고 엎드려 먹이를 노리다가, 이리 뛰고 저리 뛰고, 높이 뛰고 낮게 뛰다 결국 그물이나 덫에 걸려 죽고 마네. 이제 들소를 보게. 그 크기가 하늘에 뜬구름처럼 크지만 쥐 한 마리도 못 잡네. 이제 자네는 그 큰 나무가 쓸모없다고 걱정하지 말고, 그것을 ‘아무 것도 없는 고을(無何有之鄕)’ 넓은 들판에 심어 놓고 그 주위를 ‘하는 일 없이(無爲)’ 배회하기도 하고, 그 밑에서 한가로이 낮잠이나 자게. 도끼에 찍힐 일도, 달리 해치는 자도 없을 걸세. 쓸모없다고 괴로워하거나 슬퍼할 것이 없지 않은가?”
201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