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사람들은, 생각의 문제를 주로 자신이 생각하는 방법이 아니라 그 어떤 생각을 떠올리게 만든 대상이나 상황의 문제로 봅니다. 하지만 가끔은, 아주 가끔은 자신에게 되물어 보기도 하지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생각' 혹은 '생각하기'가 기술이라구요? 만약 기술이 아니라한다면, 똑 같은 생각을 누구나 할 수 있고, 저절로 할 수 밖에 없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면 ‘내 생각’이란 것은 없어야 마땅하겠지요. 그렇지 않고 그것이 기술이라고 하면 지식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기술을 배우는 과정은 간편하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이론을 배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습으로 익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론과 실습을 배우고 익히는 것 외에 어떤 기술을 마스터 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세 ..
↕ 지식, 경험으로 판단, 평가, 분석하는 (이분법적) 사고 ↔ 창조와 변화에 중점을 둔 (다양성 지향) 사고 두뇌의 자기 조직 시스템(Self Organization System) 하에서, 입력된 정보는 고정된 pattern을 형성한다. 이 고정된 pattern을 깨뜨리는 것이 수평적 사고이다. 즉 기존의 개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사고 기법이다. - Dr. de Bono, 1964 ① 초점(focus) - 실효성 향상을 위해 target을 설정해야 - General area focus ←(분리) → Specific area focus (Purposed focus) ↘ ↙ 기내 서비스 (비용 절감) ↓ 비용 증가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② 대안(alternatives) - 고정점(fixed point)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무스타파
- 컴퓨팅 사고
- 예언자
- JTree
- Systems Thinking
- 사랑
- wav
- ajax
- java
- Data Science
- data analysis
- xe
- 소유
- 이기일원론
- 퇴계
- 존재
- Data Mart
- 어약연비
- Critical Thinking
- Multiple Path
- 율곡
- WMV
- 물고기
- Kahlil Gibran
- 수평적 사고
- Lateral thinking
- 후흑학
- 점검항목
- Edit Tree Node
- Computational Think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